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절삭공구 수명을 파악하는 법
    카테고리 없음 2018. 1. 23. 12:26

    1. 가공면에 광택이 있는 색조와 반점 생성
    공구의 인선이 마모되거나 파손되면 광택이 나며, 절삭이 불량하게 된다. 이러한 광택은 버니싱(burnishing)을 한 것과 같은 광택을 나타낸다. 눈으로 가공물의 표면을 관찰할 수 있어서 현장에서 손쉽게 절삭공구의 수명 판정에 이용한다.

    2. 공구 인선의 마모가 일정량에 달했을 때
    주철 절삭이나 강재의 경 절삭 등에서 플랭크 마모나 크레이터 마모가 발생하며 이 때, 플랭크 마모량 VB의 크기는 아래의 표를 참고하자.

    3. 완성치수의 변화량이 일정량에 달했을 때
    절삭공구가 마모되면, 심압대에서 척 방향으로 절삭할 때, 척 방향에 지름이 커지는 비정상적인 테이퍼로 절삭된다. 이때 척 쪽에 가공물 지름이 증대하는 양이 어느 정도 일정한 양에 도달하면 공구의 수명이 종료된 것으로 판정하는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보통 다듬질에서는 0.2mm 정도, 정밀 다듬질에서는 0.04mm 정도의 변화가 생길 때에 공구수명이 종료된 것으로 판정한다.

    4. 이송분력, 배분력이 급격히 증가할 때
    절삭저항을 실험할 때 살펴보면 절삭에 어떠한 문제점을 발견하지 못해도 갑자기 배분력과 이송분력이 급상승하며 주분력의 크기와 비슷한 양상을 나타낸다. 이런 경우에 실험을 중단하고 전자 현미경 등으로 절삭공구의 인선을 살펴보면 마모나 미소한 결함이 발생한 것을 확인하게 된다. 이러한 변화가 발생하면 공구수명이 종료한 것으로 판정한다.

    5. 절삭저항의 주분력 증가
    절삭저항이 주분력이 절삭을 시작했을 때와 비교하여 일정량이 증가할 경우 절삭 공구의 수명이 종료된 것으로 판정한다.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