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기자동차 보급 목적 EV Electric Vehicle카테고리 없음 2018. 1. 25. 21:02
환경적 측면
자동차로 인한 대기오염 해결
- - 수도권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의 30%이상이 경유차 등 자동차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로서, 자동차로 인한 대기오염이 심각해지고 있습니다.
- - 또한, 아파트 주변도로, 지하주차장 등 국민 생활에 밀접한 곳에서 발생하는 자동차 배출가스는 인체 위해도가 매우 높아 '12년에 국제암연구소에서
1군 발암물질로 지정하기도 하였습니다. - - 내연기관차를 친환경차인 전기차로 대체해나갈 경우 자동차로 인한 대기오염 문제를 획기적으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 - 자동차에서 배출되는 유해물질은 일산화탄소(CO), 탄화수소(HC), 질소산화물(NOx), 미세먼지(PM)등이 있습니다.
자동차로 인한 기후변화
- - 전기차 사용량이 증가하면 내연기관차로 인해 발생되는 대기오염물질, 온실가스 등 배출량이 감소되며 전기차 1대 보급으로 연간 CO2 2톤을 감축하는
효과를 가져옵니다. - - 온실가스 연간 2톤 감축 : 에어컨 1대를 1년간 가동시 온실가스 1톤 배출
- - 자동차 배출가스로부터 해방 : 국제암연구소 자동차 배출가스 1급 발암물질로 지정
- 전기차 1대 보급 = 연간 CO2 2톤 감축
- 전기차 : 발전 94.1g/km + 주행 0g/km
- 가솔린차 : 석유채굴 26.5g/km + 주행 165.7g/km